중간에 랭귀지팩을 설치한 후 다시 프로그램 설치로 돌아가서 Refresh를 눌러주면, 언어로 한국어가 선택됩니다.
언어 설정이 안된 분들은 바탕화면에서 우클릭하여 설정 메뉴에 들어가 한국어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설정 창에서 아까 나중에 설정하겠다고 한 사용자명과 메일 주소를 등록합니다.
초기설정이 끝났으면, 이어서 특정 폴더를 로컬 저장소로 등록합니다. tutorial이라는 이름의 폴더로 하겠습니다. 폴더에어 우클릭하여 Git 저장소 여기에 만들기(Git Create repository here...)를 선택합니다. 팝업창이 뜨면 확인, OK를 누릅니다. 항목에 체크하면 단순히 Push된 변경내역만 보입니다. PC와 웹에서 동일한 모든 작업을 하려면 체크하지 않아야 합니다.
테스트용 텍스트를 삽입한 메모장을 생성 후, 저장소 폴더에 저장합니다. tutorial 폴더 안을 우클릭, Git 커밋을 클릭합니다. 팝업창에서 파일을 선택한 후 커밋을 누릅니다. 커밋이 완료되면 닫기 버튼을 누릅니다.
폴더 내부를 우클릭하여 TortoiseGit, 로그 표시를 클릭해보면 커밋 이력에 방금 커밋한 내용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3. 원격 저장소 용어 개념
2번은 로컬 저장소를 활용하는 방법이고, 3번은 원격 저장소에 push하여 공유하는 방법입니다. Git에서 Push란 웹상의 원격 저장소로 변경된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을 뜻합니다. push하면 원격 저장소에 나의 변경 이력이 업로드되어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가 같은 상태가 됩니다.
Clone은 변경 이력이 있는 원격 저장소를 웹에서 복사해서 내 PC로 붙여넣기 하는 것입니다. 변경 이력까지 함께 가져올 수 있습니다.
CTR : Click Through Rate. 노출 100명 당 클릭한 명수. (클릭수/노출수)*100 클릭률, 광고 반응률이라고도 함.
효율이 좋은 광고란 CPC, CPM이 낮으면서 CTR이 높은 광고라 할 수 있습니다.
광고가 보이는 지면 입찰가의 영향을 받는 CPM을 낮추면 CPC가 올라가는데, 이를 CPM 최적화라고 합니다. CPM을 낮추려면 타겟팅을 세분화하여 지면에 대한 지나친 경쟁을 피해야하는데 쉽지 않고, 3가지 요소가 이상적으로 떨어지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라고 합니다. (brunch.co.kr/@seulgilim15/1)
지나친 타겟팅의 세분화는 광고 노출 모수가 적어져서 광고 효과 자체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 적절히 창의적인 광고 소재, 효과적인 미디어 믹스 전략과 주기적인 광고 효율 체크가 온라인 광고의 좋은 성과를 부릅니다. 미디어 믹스란 예산에 맞춰 매체와 타겟팅 시나리오를 만든 결과물을 말합니다.
CPE : Cost Per Engagement. 확장형 광고. 사용자가 시작하는 작업에 따라 광고 단위 크기 이상으로 확장되는 광고. 광고 배너를 클릭하면 광고가 확장되며, 여기서 한번 더 클릭 (즉 두 번의 클릭)이 발생해야 수입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광고 단가가 높습니다. 애드센스에서의 설정은 광고 허용 및 차단 > 광고게재 > 확장형광고 ON으로 해두면 됩니다.
CPS : Cost Per Sales. CPC는 실제 판매로 연결되지 않아도 클릭수에 대해 광고료를 책정하지만 CPS는 실제 판매가 있을 경우에만 판매액의 일정 부분에 대해 광고료를 책정하는 방식입니다. CPC보다 더 직접적인 광고 효과를 원하는 광고주가 사용합니다.